증거기반실제란 증거기반실제(Evidence-Based Practice; EBP)란 과학적인 절차를 통해 그 효과가 엄격하게 입증된 중재를 의미합니다. 증거기반실제는 1960년대 의학 분야에서 시작된 이후 교육학 분야까지 확장되어
적용되기 시작한 개념입니다. ‘교수학습을 위한 증거기반실제를 적용한다’는 것은 의학 분야에서 질병과 증상을 고려하여 효과가 있다고 입증된 약물과 처치를 처방하고 제공하는 것과 같이 교육현장에서도
학생의 성취를 높이기 위해 과학적으로 효과가 입증된 교수방법을 활용하고 적용함으로써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교육을 실시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증거기반실제를 판별하기 위해서는 엄격한 연구설계 기준을 충족하는 반복연구를 통해 효과를 입증해야 합니다. 증거기반실제는 반복연구를 통해 드러나는 효과성의 정도에 따라 등급을 구분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특정 중재방법에 대한 반복연구의 수가 증가하거나 감소함에 따라서, 또는 세대와 환경이 변화함에 따라서 효과의 정도와 등급이 유동적으로 변화할 수 있습니다.
학습자의 개별성이 두드러지고 개별화교육이 핵심이 되는 특수교육 분야에서 또한 학업 및 학업이전기술, 자조기술, 행동, 의사소통, 정신건강, 운동, 놀이, 자기결정, 사회성기술, 직업기술 등 다양한 영역에서
효과가 입증된 여러 가지 증거기반실제가 발표되고 있습니다.
현재 특수교육 현장에서 널리 시행되고 있는 학교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은 학교 안의 모든 구성원이 학업과 사회성 측면에서 바람직한 방향으로의 성취를 위하여 증거기반실제를 적용하는 것을 원칙으로
삼고 있습니다. SWPBS의 맥락에서 각 실제를 구성하는 핵심요소가 충실하게 실행되었는지를 점검하고 성취와 관련한 자료를 수집함으로써 1, 2, 3차 지원에 대한 의사결정을 실시할 수 있습니다.
아래 목차는 Dunlap et al. (2010)에서 제시한 예방-교수-강화전략을 중심으로 수정·보완한 것으로 개별지원 대상 학생을 위한 행동중재계획을 수립할 때, 기능평가 결과를 참고하여 아래의 증거기반전략을
적절히 선택하여 활용하시길 추천합니다.